
- (만 0세) 가정 양육시 현금, 어린이집 이용시 보육료 바우처와 현금(46만원),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 지급
- (만 1세) 가정 양육시 현금, 어린이집 이용시 보육료 바우처와 현금(2.5만원),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 지급
[1] 부모급여(현금)
- 만0세 : 1인당 월 100만원 현금 지급
- 만1세 : 1인당 월 50만원 현금 지급
▷ 매월 25일 계좌이체 원칙
[2] 부모급여(보육료)
- 만 0세 아동 1인당 월 보육료 전액 + 부모급여 차액 월 46만원 지급
- 만 1세 아동 1인당 월 보육료 전액 + 부모급여 차액 월 2.5만원 지급(1세반인 경우)
▷ 사회서비스이용권으로 지급(국민행복카드로 결제), 차액(46만원/2.5만원)은 현금으로 익월 25일까지 지급
※ 부모급여 차액
- 익월 6일 시점의 어린이집 반 편성 정보를 기준으로 지급
- 월 중 어린이집 입퇴소 및 상·하위반 편성에 따라 발생하는 부모보육료 정산금액도 지급
| - | 2025년 | ||
|---|---|---|---|
| 보육료 바우처 | 익월 지급 | ||
| 부모급여(차액) | 정산금 | ||
| 0세(0세반) | 54만원 | 46만원 | 입소일 또는 상·하위반 편성에 따라 매월 금액 상이 |
| 1세(0세반) | 54만원 | - | |
| 1세(1세반) | 47.5만원 | 2.5만원 | |
▷ 출생일을 포함한 60일 이내(60일이 되는 날이 토·일요일·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까지 인정)에 부모급여(영아수당)을 신청하는 경우,
출생일이 속하는 달부터 소급하여 수당 지급
※ 단, 해외체류 기간이 9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90일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다음 달부터, 입국일이 속하는 달까지 지급정지








